MY MENU

자료실

제목

음식습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9.17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2616
내용
음식습관은 하루아침에 바꾸기는 어렵다. 평소보다 음심을 적게먹고 남기지 않는 습관을 익히려면 어느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순히 음식을 적게먹고 남기지 않으려는 노력에 앞서 음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음식에 대한 지혜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음식에 지혜를 불어넣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스님들의 발우공양은 그 방법을 잘 제시하고 있다.

발우공양이란 스님들의 식사를 말한다. 스님들의 식사는 일반사람들의 식사방법과 다르다.
발우공양은 식당작법(食堂作法)을 따라 하게 되는데 이 식당작법을 살펴보면 한끼의 식사까지 불교의 수행정신이 스며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흔히 발우공양은 음식을 남기는 법이 없어 낭비가 없으며, 음식을 남기지 않아 설거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설거지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지혜의 반영일 뿐이다. 식당작법을 통해 스님들의 식사란 수행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출가 수행자가 음식을 매개로 중생과 함께하는 지혜의 정신이 숨어있는 것이다.

식당작법 중에 공양할 때 반드시 관상(觀想)하는 오관게(五觀偈)가 있다. 오관게를 오관상념게(五觀想念偈)라고도 하는데 다섯 시귀의 내용을 관상하여 염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공양이 여기에 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의 피와 땀의 고통이 배어있는가를 헤아리고(計功多少 量彼來處) 자기의 덕행이 공양을 받기에 부끄럽지 않는가를 생각한다.(忖己德行 全缺應供) 마음을 악으로부터 보호하고 허물을 여의는 것은 탐·진·치 삼독(貪·瞋·癡 三毒)을 버리는 것이 으뜸이니,(防心離過 貪等爲宗)이 음식을 약으로 알아 육신의 고달품을 치료하여,(正思良藥 爲療形枯)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爲成道業 應受此食)

이러한 오관게를 통해 발우공양의 불교적 정신를 되새겨보면 첫째 시귀는 은혜, 둘째 시귀는 음식을 받을만한지의 자격, 셋째 시귀는 음식을 받는 이유, 넷째 시귀는 육신의 건강을 위해 음식을 받는 것으로 수행의 조건인 건강한 육체, 다섯째 시귀는 수행하기 위해서 음식을 받는 것, 즉 수행은 깨달음을 목적으로 하는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을 일상생활에서 적용시켜보면 불교의 음식에 대한 지혜를 그대로 응용할 수 있다.


발우공양의 불교정신이 사회에 지속되려면 오관게를 관상하는 운동이 불자들의 실천을 통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관상하여 잊어버리지 않으면 몸에 배여서 일상생활에서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이제 발우공양의 정신을 일반화하여 각 가정에서 직접 실천해 보면 절약하는 습관과 음식의 소중함을 깨닫고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까지 저절로 갖게 될 것이다. 이것이 확대되면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얻게 됨은 물론이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