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글모음집

제목

불기 2568년도 성지순례법회(영암 도갑사, 강진 무위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3.22
첨부파일0
추천수
3
조회수
596
내용
영암 도갑사 

도갑사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도갑사로 306)에 있는 절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는 신라의 4대 고승 가운데 한 분인 도선국사가 신라 헌강왕 6년에 창건했다.
고려시대에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조선 초 세조 때 고승인 수미대사가 
1456년(세조2년)에 대가람으로 중창했다고 한다. 
세종에 의해 국사로 모셔진 수미대사는 왕실의 지원으로 도갑사를 966칸의 대가람으로 중창했다.

조선 효종 4년(1653년)에는 도선수미비 그리고 월출산 도갑사석교 중창비 등이 세워졌는데,
당시 영의정과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던 이경석, 이수인, 정두경 등이 비문을 썻다고 한다. 
그 후로도 1677년(숙종3년)에는 당간석주를 세웠고,
1682년에는 대형 석조를 조성했으며, 18세기 중엽에는 당대 화엄학의 대종주였던 
연담유일 스님이 이곳에 머물면서 불교사전이라 할 수 있는 <석전유해>를 편찬했다. 

국보 제50호인 해탈문과 마애여래좌상(국보제144호), 석조여래좌상(보물제89호), 
문수 보현동자가 올라 탄 사자코끼리상(보물 제1134호), 오층석탑(보물 제1433호),
대형석조, 그리고 도선수미비(보물 제1395호) 등 수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19세기 이후의 연혁은 알려진 것이 거의 없고, 정유재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많은 문화재가 유실되었다. 
그나마 남아있던 것들도 일제시대와 6.25전란을 겪으면서 소실되었고, 
수미대사 중창 당시 상동암, 하동암, 남암, 서부도암, 동부도암, 
미륵암, 비전암, 봉선암, 대적암, 상견암, 중견암, 하견암 등 12개 산내암자가 있었다고하나
지금은 상견성암과 동암만이 남아 있다. 

1977년에는 참배객의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해서 대웅보전과 많은 성보문화재가 소실되는
비운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1981년 대웅보전을 복원하고 2009년 대대적인 발굴조사를 마친 후 복원불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강진 무위사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 옆면 3칸 크기이다.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조선 초의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인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보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전시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 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받고 있다.  

간결한 외부와는 달리 극락을 상징하는 극락보전 내부는
불화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는데, 
후불벽에 앞면에 그려진 아미타여래삼존벽화는 보물 제 1313호에 지정되어 있다가
2009년 9월 2일 국보 제313호로 승격지정되었다. 

또한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 보물 제1312호에,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관음도가 보물 제 1314호에,
삼존벽화를 제외한 나머지 벽화들은 보물 제1315호에 지정되어 있다.  

- 참고 : 위키백과 한국, 문화재청홈페이지-
3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