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내용
1. 차 도구 (茶具)
다구는 기본적인 것과 보조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다구에는 찻잔, 다관, 탕관, 차통, 차술이 있고,
보조다구에는 차귀뎅이, 버리개, 잔받침, 차상, 차상보, 차수건, 다포 등이 있지요.
말차를 마시고자 한다면, 차솔과 제법 큰 찻잔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1인용 다기를 사용한다면 다른 것은 그리 필요치 않습니다.
1인용 다기와 녹차 그리고 뜨거운 물만 있으면 되니까요.
하나하나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찻잔 - 잔 끝 둘레가 오므라들지 않은 게 마시기에 편합니다.
둘레가 가는 것은 혀끝으로 차맛을 음미하기에 좋지요.
다관(또는 차관) - 차를 우려 따르는 것입니다.
자루손잡이가 달려있고, 주전자 모양을 한 것이지요.
손잡이는 쥐어보아 다루기 편한 것이 좋습니다.
크기는 마시고자 하는 사람 수에 따라 고르면 되는데,
특히 주의할 것은 부리끝의 생김새입니다.
찻물이 끊어지거나 몸통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택해야 합니다.
차귀뎅이 - 넓은 대접처럼 생겼습니다.
유발, 귓대차사 발, 식힘사발이라고도 부르며
물을 식힐 때, 우려낸 차를 담아 찻잔에 따를 때 사용합니다.
본래 유발은, 차를 갈아서 바로 끓인 물을 부어 다유를 만든 후
각 잔에 따르던 그릇으로 한솥밥을 중시하는 우리 풍속에 알맞은 다구라 합니다.
숙우라는 말도 있는데, 중국의 육우가 <다경(茶經)>에서
'끓인 물을 담아두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오늘날엔 중국에서도 쓰이지 않는 말이라지요.
(이상의 세가지를 다기(茶器)라 합니다.)
탕관 - 물을 끓이는 용기입니다.
재료로는 돌, 무쇠 등 여러가지지만
전기포트나 주전자를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
차통 - 차를 보관하는 그릇입니다.
차는 주위의 모든 습기, 향기를 빨아들이는
강한 흡습성, 흡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밀페할 수 있도록 꼭 닫히는 것이 좋습니다.
차술 - 차통에서 차를 떠내는 데 쓰입니다. 차숟가락이죠.
보통 대나무로 만든 걸 사용합니다.
말차를 뜨는 긁개 모양의 대숫가락은 차뜨개 또는 가루찻술이라 부릅니다.
버리개(또는 퇴수기) - 다관과 잔을 데운 물을 버리거나
다관을 엎어서 찌꺼기를 버리는 그릇입니다.
잔받침 - 찻잔의 크기에 어울리는 것이어야 합니다.
재질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보통은 나무로 만든 걸 사용합니다.
차상 - 차상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차 도구를 올려 놓고 사용하기가 편하도록 10cm - 20cm 내외가 적당합니다.
차상보 - 차상을 덮어 평상시 먼지가 내려앉지 않도록 합니다.
풀기가 있는 약간은 빳빳한 천이 좋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붉은 비단보자기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는 벽사(闢邪 : 사악한 기운을 물리침)의 의미에서랍니다.
차수건(다건) - 찻잔 등의 물기를 닦는 마른 행주를 말합니다.
다포 - 차상에 까는 천입니다. 삼베나 무명 등의 천으로 만들어져 떨어진 물기를 흡수하고 차상의 윗면 바닥을 보호합니다.
그 밖에 끓는 물을 보충하는 물병, 찻그릇을 씻어 엎어두는 그릇박,
다과그릇과 차관의 찌꺼기를 긁어내는 꺽술, 물 끓이는 화로,
다관 뚜껑을 올려놓는 뚜껑받침, 다구를 올려놓고 찻일을 하는 다판 등
전문적인 도구들이 많습니다.
위에 든 것만도 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니 도구에 대해선 이만 하기로 하지요.
다구의 배열은 대략 다음과 같이 합니다.
말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기본다구 외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또한 필요합니다.
귓대 차사발(바라기 또는 다완(茶碗)) - 차귀뎅이처럼 넓은 그릇이며
대개는 삿갓을 뒤집어놓은 듯한 모양입니다.
차솔(또는 차선(茶선)) - 대나무를 가늘게 80쪽 또는 100쪽으로
갈라 만든 것으로 말차를 휘저을 때 사용합니다.
다구는 기본적인 것과 보조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다구에는 찻잔, 다관, 탕관, 차통, 차술이 있고,
보조다구에는 차귀뎅이, 버리개, 잔받침, 차상, 차상보, 차수건, 다포 등이 있지요.
말차를 마시고자 한다면, 차솔과 제법 큰 찻잔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1인용 다기를 사용한다면 다른 것은 그리 필요치 않습니다.
1인용 다기와 녹차 그리고 뜨거운 물만 있으면 되니까요.
하나하나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찻잔 - 잔 끝 둘레가 오므라들지 않은 게 마시기에 편합니다.
둘레가 가는 것은 혀끝으로 차맛을 음미하기에 좋지요.
다관(또는 차관) - 차를 우려 따르는 것입니다.
자루손잡이가 달려있고, 주전자 모양을 한 것이지요.
손잡이는 쥐어보아 다루기 편한 것이 좋습니다.
크기는 마시고자 하는 사람 수에 따라 고르면 되는데,
특히 주의할 것은 부리끝의 생김새입니다.
찻물이 끊어지거나 몸통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택해야 합니다.
차귀뎅이 - 넓은 대접처럼 생겼습니다.
유발, 귓대차사 발, 식힘사발이라고도 부르며
물을 식힐 때, 우려낸 차를 담아 찻잔에 따를 때 사용합니다.
본래 유발은, 차를 갈아서 바로 끓인 물을 부어 다유를 만든 후
각 잔에 따르던 그릇으로 한솥밥을 중시하는 우리 풍속에 알맞은 다구라 합니다.
숙우라는 말도 있는데, 중국의 육우가 <다경(茶經)>에서
'끓인 물을 담아두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오늘날엔 중국에서도 쓰이지 않는 말이라지요.
(이상의 세가지를 다기(茶器)라 합니다.)
탕관 - 물을 끓이는 용기입니다.
재료로는 돌, 무쇠 등 여러가지지만
전기포트나 주전자를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
차통 - 차를 보관하는 그릇입니다.
차는 주위의 모든 습기, 향기를 빨아들이는
강한 흡습성, 흡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밀페할 수 있도록 꼭 닫히는 것이 좋습니다.
차술 - 차통에서 차를 떠내는 데 쓰입니다. 차숟가락이죠.
보통 대나무로 만든 걸 사용합니다.
말차를 뜨는 긁개 모양의 대숫가락은 차뜨개 또는 가루찻술이라 부릅니다.
버리개(또는 퇴수기) - 다관과 잔을 데운 물을 버리거나
다관을 엎어서 찌꺼기를 버리는 그릇입니다.
잔받침 - 찻잔의 크기에 어울리는 것이어야 합니다.
재질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보통은 나무로 만든 걸 사용합니다.
차상 - 차상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차 도구를 올려 놓고 사용하기가 편하도록 10cm - 20cm 내외가 적당합니다.
차상보 - 차상을 덮어 평상시 먼지가 내려앉지 않도록 합니다.
풀기가 있는 약간은 빳빳한 천이 좋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붉은 비단보자기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는 벽사(闢邪 : 사악한 기운을 물리침)의 의미에서랍니다.
차수건(다건) - 찻잔 등의 물기를 닦는 마른 행주를 말합니다.
다포 - 차상에 까는 천입니다. 삼베나 무명 등의 천으로 만들어져 떨어진 물기를 흡수하고 차상의 윗면 바닥을 보호합니다.
그 밖에 끓는 물을 보충하는 물병, 찻그릇을 씻어 엎어두는 그릇박,
다과그릇과 차관의 찌꺼기를 긁어내는 꺽술, 물 끓이는 화로,
다관 뚜껑을 올려놓는 뚜껑받침, 다구를 올려놓고 찻일을 하는 다판 등
전문적인 도구들이 많습니다.
위에 든 것만도 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니 도구에 대해선 이만 하기로 하지요.
다구의 배열은 대략 다음과 같이 합니다.
말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기본다구 외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또한 필요합니다.
귓대 차사발(바라기 또는 다완(茶碗)) - 차귀뎅이처럼 넓은 그릇이며
대개는 삿갓을 뒤집어놓은 듯한 모양입니다.
차솔(또는 차선(茶선)) - 대나무를 가늘게 80쪽 또는 100쪽으로
갈라 만든 것으로 말차를 휘저을 때 사용합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